블로그 로고
호두의 통계일지
close
프로필 로고

호두의 통계일지

  • 분류 전체보기 (51) N
    • 오늘의 보건이슈 🔍 (6)
    • 인과추론 (9) N
    • 실전 인과추론 (9)
    • 반복측정자료 (4)
    • DAG (3)
    • 데이터분석 (7)
    • 통계 (4)
    • AI, Python (1)
    • 보고서 (3)
    • 자격시험 (3)
    • 논문 리뷰 (1)
  • 홈
  • 태그
  • 방명록
  • 글쓰기
📌 중간개입이 있는 관찰연구, G-estimation으로 분석하는 법

📌 중간개입이 있는 관찰연구, G-estimation으로 분석하는 법

📌 G-estimation: 인과추론의 숨은 강자 한 환자가 있다.1년 동안 병원에 여러 번 방문하면서→ 의사는 그때그때 건강 상태를 보고 약을 조절한다.→ 약을 먹으면 건강 상태도 달라진다. 이 말은,약이 건강에 영향을 주고,건강 상태는 다시 약을 결정짓는 기준이 된다. 즉, 건강 상태(혹은 검사 수치)가결과에도, 치료 결정에도 영향을 주는 변수인 것이다. 🌀 이걸 왜 단순하게 분석하면 안 될까? 단순히 “약을 먹은 사람 vs 안 먹은 사람” 비교하면 헷갈린다. 건강 상태가 나쁜 사람일수록 약을 더 많이 먹고,약은 건강을 개선하려 하니까,두 효과가 뒤엉켜서 약의 ‘진짜 효과’를 구분하기 어렵다. 🔥 바로 이런 상황에서 필요한 게 G-estimation이다 G-estimation은 이렇게 ..

  • format_list_bulleted 인과추론
  • · 2025. 8. 3.
  • textsms

🧬 생존분석 + 반복측정자료 분석법: 개념, 원리, 예시까지 총정리

⏱️ 반복측정자료가 왜 생존분석에서 중요한가? 현실 데이터에서는한 번의 측정으로 끝나지 않는다. 환자의 체중, 혈압, 혈당은 시간에 따라 달라진다복용 약물이나 증상 점수도 반복적으로 측정된다이 변화가 사망, 재발, 입원 같은 이벤트 발생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그렇다면 단순히 baseline만 보는 건 한계가 있다. 📍 반복측정자료를 어떻게 반영하느냐에 따라,예측도, 추정도, 인사이트도 완전히 달라진다. 1️⃣ Time-dependent Cox PH: 값을 시간마다 갈아 끼운다 🔁 ✅ 개념Time-dependent Cox는기존 Cox 모델을 확장해,시간에 따라 바뀌는 변수값(X(t))을 반영할 수 있는 구조이다. 즉, 한 번 측정한 X 값이 아니라,매 시점마다 갱신되는 X(t)를 반영해해당 시..

  • format_list_bulleted 반복측정자료
  • · 2025. 7. 26.
  • textsms
OR vs RR vs Modified Poisson - “2배 위험”이라는 말, 진짜 2배일까?

OR vs RR vs Modified Poisson - “2배 위험”이라는 말, 진짜 2배일까?

1. 많은 의학 논문에서는 OR를 쓴다… 그런데? 🧪 많은 의학 논문에서 OR (odds ratio), HR (hazard ratio)을 인용한다.문장은 이런 식이다.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폐암 위험이 2.5배 높았다 (OR=2.5).” 🙄 그런데… 진짜 2.5배 높을까? 로지스틱 회귀는 binary outcome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통계 방법이고,이 회귀에서 나오는 기본 출력값은 바로 오즈비(OR)다. 하지만, 여기엔 중요한 전제가 있다. ➡ OR는 사건이 드문 경우에만 RR(상대위험도)의 근사값이 된다.➡ 사건률이 10~20%를 넘기 시작하면?➡ OR는 실제 위험률(RR)을 심각하게 왜곡한다. 2. OR vs RR, 뭐가 다를까? 🤔 “위험이 얼마나 증가했나요?”질문은 같지만, 대답은..

  • format_list_bulleted 통계
  • · 2025. 7. 26.
  • textsms
[📘 반복측정자료 분석] 개념과 핵심 모형 총정리

[📘 반복측정자료 분석] 개념과 핵심 모형 총정리

🧬 반복측정자료는 어디에나 있다 실제 연구나 의료 데이터를 보면,단 한 번의 측정으로 모든 걸 설명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예를 들어, 같은 환자의 혈압을 1개월, 3개월, 6개월째 추적한다면?치료 전과 치료 후, 반응이 달라지는지 본다면?매년 건강검진을 받는 코호트에서 수치가 어떻게 변할까? 이처럼 하나의 대상에게서 시간에 따라 여러 번 측정된 자료를우리는 반복측정자료(repeated measures)라고 부른다. 🤔 그런데 분석은 어떻게 해야 할까? 이런 데이터를 분석할 때, 단순히“모든 관측치를 일렬로 세워서 회귀분석을 하면 되지 않을까?”하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가 생긴다…→ 📌 바로 독립성 가정의 붕괴이다! 🔍 왜 일반 회귀로는 부족할까? 일반 선형회귀나 GLM은 ..

  • format_list_bulleted 반복측정자료
  • · 2025. 7. 22.
  • textsms
🔍 인과추론 효과 계층 총정리: ATE부터 LATE, CATE, ITE, HTE까지 🧠

🔍 인과추론 효과 계층 총정리: ATE부터 LATE, CATE, ITE, HTE까지 🧠

실무에서 인과효과를 추정할 때, "효과가 있다"는 말은 누구에게, 어떤 조건에서, 얼마나 있다는 뜻일까요?단순한 평균 효과만 알면 충분할까요? 🤔 이 글에서는 인과추론에서 자주 등장하는 효과 추정 개념들을 한눈에 정리합니다. ATE, CATE, ITE, HTE, GATE는 기본이며,ATT, ATC, LATE, QTE, MTE 같은 고급 개념까지 포함하여각각이 어떤 상황에 적절한지 실제 적용 관점에서 설명합니다. 1️⃣ ITE: 개별 인과효과 (Individual Treatment Effect) ITE는 한 개인에게서 처치 여부에 따른 결과 차이를 뜻하는 개념입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한 개인은 한 번만 관측 가능하므로, 두 개의 잠재 결과를 동시에 볼 수 없습니다.즉, ITE는 정의는 가능하지만 ..

  • format_list_bulleted 인과추론
  • · 2025. 6. 19.
  • textsms
[인과추론] 주요 방법론 총정리 ⭐

[인과추론] 주요 방법론 총정리 ⭐

🎯 인과추론, 도대체 뭐길래? “이 약이 효과가 있었을까?”“그 정책이 없었으면 어떻게 됐을까?” 이런 질문을 할 때, 우리가 진짜로 알고 싶은 건 ‘인과관계’입니다.단순히 함께 나타난다(correlation)가 아니라,👉 정말 ‘그것 때문에 그렇게 된 건지’ 알고 싶은 거죠! 🛠️ 인과추론이란? “어떤 개입(Treatment)이 결과(Outcome)에 영향을 줬는가?” 를 과학적으로 추정하는 방법 즉, “그랬다면 어땠을까?”(Counterfactual) 를 상상해서 비교하는 게 핵심입니다.예를 들어, 신약을 복용한 환자와 복용하지 않은 똑같은 조건의 환자를 비교해진짜 신약이 효과 있었는지 알아보는 거예요. 📦 인과추론 방법론 총정리! 🔍 방법💡 핵심 아이디어✅ 사용 조건🧪 예시📊 난이..

  • format_list_bulleted 실전 인과추론
  • · 2025. 4. 27.
  • textsms
  • navigate_before
  • 1
  • 2
  • 3
  • navigate_next
공지사항
  • 🌟 블로그 소개글 🌟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51) N
    • 오늘의 보건이슈 🔍 (6)
    • 인과추론 (9) N
    • 실전 인과추론 (9)
    • 반복측정자료 (4)
    • DAG (3)
    • 데이터분석 (7)
    • 통계 (4)
    • AI, Python (1)
    • 보고서 (3)
    • 자격시험 (3)
    • 논문 리뷰 (1)
최근 글
인기 글
최근 댓글
태그
  • #상관관계
  • #통계분석
  • #의료통계
  • #의료
  • #인과추론
  • #데이터분석
  • #의료논문
  • #인과관계
  • #논문통계
  • #통계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Copyright ©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Juum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