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로고
호두의 통계일지
close
프로필 로고

호두의 통계일지

  • 분류 전체보기 (52)
    • 오늘의 보건이슈 🔍 (6)
    • 인과추론 (10)
    • 실전 인과추론 (9)
    • 반복측정자료 (4)
    • DAG (3)
    • 데이터분석 (7)
    • 통계 (4)
    • AI, Python (1)
    • 보고서 (3)
    • 자격시험 (3)
    • 논문 리뷰 (1)
  • 홈
  • 태그
  • 방명록
  • 글쓰기
[보건이슈🔍] 한국의 마약성 진통제 관리 사각지대

[보건이슈🔍] 한국의 마약성 진통제 관리 사각지대

다가오는 폭풍:한국의 마약성 진통제 위기 데이터로 보는 관리 사각지대와 시스템의 균열 1. '마약성 진통제(오피오이드)'란 무엇인가? 마약성 진통제(오피오이드)는 아편과 유사한 효과를 내는 강력한 진통제입니다. 이는 수술 후 통증이나 암성 통증 등 극심한 고통을 줄여주는 필수적인 의약품이지만, 동시에 매우 강력한 중독성과 의존성 위험을 가지고 있어 국가의 엄격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이 인포그래픽에서는 펜타닐, 옥시코돈과 같이 법적으로 '마약'으로 분류된 성분들을 중심으로 다룹니다. ..

  • format_list_bulleted 오늘의 보건이슈 🔍
  • · 2025. 6. 18.
  • textsms
[보건이슈🔍] GLP-1 항비만제: 혁신과 사회적 딜레마

[보건이슈🔍] GLP-1 항비만제: 혁신과 사회적 딜레마

GLP-1 혁명 새로운 항비만 시대의 사회적·의학적 교차로 위고비, 오젬픽 등 GLP-1 작용제는 전례 없는 체중 감량 효과로 비만 치료의 새 시대를 열었습니다. 그러나 이 혁신의 이면에는 건강보험 재정, 사회적 불평등, 약물 오남용이라는 거대한 딜레마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GLP-1, 처음 들어보셨나요? 🤔GLP-1이란? ..

  • format_list_bulleted 오늘의 보건이슈 🔍
  • · 2025. 6. 17.
  • textsms
[보건이슈🔍] 국민건강보험공단 vs 담배회사 – 10년 소송의 기록

[보건이슈🔍] 국민건강보험공단 vs 담배회사 – 10년 소송의 기록

국민건강보험공단 vs 담배회사 10년 소송의 모든 기록 흡연으로 인한 막대한 사회적 비용을 두고 대한민국 정부 기관과 거대 담배 산업이 벌인 10년간의 치열한 법적 공방. 그 역사와 핵심 쟁점, 전문가의 시선까지 모든 것을 담았습니다. 연간 흡연 관련 질환 진료비 3조원 이상 (2023년 기준) 건보공단은 흡연으로 인해 매년 수조 원의 건강보험 ..

  • format_list_bulleted 오늘의 보건이슈 🔍
  • · 2025. 6. 15.
  • textsms
[인과추론] DCC와 Backdoor Path 제대로 이해하기

[인과추론] DCC와 Backdoor Path 제대로 이해하기

🧠 1. DCC란 무엇인가? – 철학적 정의 Disjunctive Cause Criterion(DCC)은 Judea Pearl이 제안한 변수 선택 기준이다. 정의는 다음과 같다. “처치의 원인이거나 결과의 원인이거나,혹은 둘 다인 모든 관측된 변수는 조정 집합에 포함시켜야 한다.” 즉, 어떤 변수가 처치(Treatment)의 원인이거나, 결과(Outcome)의 원인이거나,또는 양쪽 모두일 경우에는 잠재적 confounder로 간주해 통제해야 한다. 이는 Backdoor Criterion보다 덜 엄밀하지만, 실용적인 기준이다. 🧠 1-1. Backdoor Path란 무엇인가? Backdoor path(뒷문 경로)는 인과 추론에서 가짜 상관관계(confounding)를 만들어내는 경로이다.우리가 진..

  • format_list_bulleted 인과추론
  • · 2025. 6. 3.
  • textsms
[통계] Decision Curve Analysis (DCA) 톺아보기

[통계] Decision Curve Analysis (DCA) 톺아보기

🎯 Decision Curve Analysis (DCA) “성능이 아니라, 쓸모를 평가하라” 0️⃣ 왜 DCA가 필요한가? 많은 연구자들이 예측 모델을 평가할 때 AUC, accuracy, sensitivity 같은 지표만을 본다.하지만 이런 지표들은 중요한 질문에 답하지 못한다: 📌 “이 모델을 실제로 써도 괜찮은가?”📌 “치료 결정을 도울 만큼 충분히 유용한가?” 예컨대, 어떤 환자의 위암 위험도가 18%라고 모델이 예측했다고 하자.그럼 이 환자에게 내시경을 권할 것인가? 말 것인가? 이런 의사결정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지를 평가하는 도구가 바로 Decision Curve Analysis (DCA)이다. 1️⃣ DCA란 무엇인가? Decision Curve Analysis (결정 곡선 ..

  • format_list_bulleted 통계
  • · 2025. 5. 31.
  • textsms
[통계] Fine-Gray Model 톺아보기

[통계] Fine-Gray Model 톺아보기

🧠 Fine-Gray 모델이란? — Competing Risks 분석의 핵심 도구 — 1️⃣ Competing Risks란? 환자가 사망하기 전, 여러 가지 다른 사건이 먼저 발생할 수 있다.예: 암 환자가 심장마비로 먼저 사망하면, 암 사망은 관찰되지 않는다.이처럼 서로 경쟁하는 사건(competing risks) 때문에기존의 생존분석(Cox 모델 등)은 적절하지 않다. 👉 이럴 때 Fine-Gray 모델을 쓴다. 경쟁위험(Competing risk)으로 발생한 다른 원인의 사망을 censor로 두지 않고,competing event로 명시적으로 모델링한다. 2️⃣ Fine-Gray 모델의 목적 각 위험(event) 별로 “발생 위험을 누적적으로 추정”한다.기존 Cox 모델은 특정 사건이 발..

  • format_list_bulleted 통계
  • · 2025. 5. 27.
  • textsms
  • navigate_before
  • 1
  • 2
  • 3
  • 4
  • 5
  • 6
  • ···
  • 9
  • navigate_next
공지사항
  • 🌟 블로그 소개글 🌟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52)
    • 오늘의 보건이슈 🔍 (6)
    • 인과추론 (10)
    • 실전 인과추론 (9)
    • 반복측정자료 (4)
    • DAG (3)
    • 데이터분석 (7)
    • 통계 (4)
    • AI, Python (1)
    • 보고서 (3)
    • 자격시험 (3)
    • 논문 리뷰 (1)
최근 글
인기 글
최근 댓글
태그
  • #데이터분석
  • #의료논문
  • #통계분석
  • #통계
  • #논문통계
  • #인과관계
  • #인과추론
  • #의료
  • #상관관계
  • #의료통계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Copyright ©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Juum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